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vn
-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Mac
- MySQL
- node.js
- DIA
- InteliJ
- MCP
- SQL
- claude
- AWS
- ARC
- Stream
- oracle
- TypeScript
- DART
- @RequestBody
- 코어자바스크립트
- 클로드 코드
- ojdbc6
- db
- 클로드
- maven
- class-transformer
- 인텔리제이
- Spring
- REST
- Aspect
- Java
- Today
- Total
개발자가 되고 싶은 개발자
Model Context Protocol (MCP) 본문
*해당 글은 클로드 데스크탑 버전의 설치를 필요로 합니다.
오늘은 '표준'이라는 개념을 시작으로 글을 적어나가 보려고 합니다.
표준이라는 단어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회적 합의를 통해 이루어진 통일 규격
어떠한 기술을 사용하고자 하거나 배우려고 할 때 복잡하거나 추상적인 개념에 접근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표준 기술을 통해서 현대 사회의 복잡하게 얽혀있는 기술 환경 안의 서로 다른 시스템들 혹은 도구를 편리하게 연결하기도 하고, 더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서문이 길었습니다. 2024년 11월 26일, 클로드(Claude)의 개발사인 앤트로픽(Antrophic)은 MCP라는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였고, 아래는 엔드로픽사의 MCP의 소개글이며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앤드로픽 사(Antrophic)에서는 AI 도구를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소와 비즈니스 도구, 개발 환경 등에 연결하기 위한 MCP라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오픈소스로 제시하였습니다.
Today, we're open-sourcing the Model Context Protocol (MCP), a new standard for connecting AI assistants to the systems where data lives, including content repositories, business tools, and development environments. Its aim is to help frontier models produce better, more relevant responses.
최근 몇 년간 AI가 화두가 되고 생성형 AI, 딥러닝 등의 다양한 키워드가 오르내리며 느꼈던 것은 결국에는 어떤 기술이든 사용하고자 하는 비즈니스 데이터에 맞게 재구현이 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현대 시스템들은 많은 시스템들과 복잡하게 얽혀있고, 이를 일일이 직접 연결하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러한 연결과 시스템 확장을 도와주는 프로토콜이 바로 MCP 입니다.
Introducing the Model Context Protocol
The Model Context Protocol (MCP) is an open standard for connecting AI assistants to the systems where data lives, including content repositories, business tools, and development environments. Its aim is to help frontier models produce better, more relevan
www.anthropic.com
이번 글에서는
어떤 기술에 접근할 때는 본인이 필요로 하여금 해당 기술에 대한 컨텍스트를 어느 정도 알고 접근하는 경우와 키워드를 들어서 어떤 기술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MCP에 대해서 무지하고, 어떻게 써야 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후자의 경우로 이번 글을 작성중에 있습니다.
조사를 통해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며 간단히 활용하는 것을 목표하겠습니다.
클로드 설치 버전을 통한 MCP 연결하기
For Claude Desktop Users - Model Context Protocol
Get started using pre-built servers in Claude for Desktop.
modelcontextprotocol.io
- 데스크탑 버전의 설치는 다음 링크에서 가능합니다. (link)
- 클로드 앱을 실행한 상태에서 상태표시줄의 'Claude > Settings...' 혹은 command + ','를 누르면 설정 창이 뜨게 됩니다.
(참고로 Mac의 대부분의 설정 단축키는 커맨드 + 콤마 입니다.)
- 설정 창이 뜨면 Developer 메뉴로 이동하고, Edit Config를 누르게 되면 아래의 경로로 이동하게 됩니다.
- macOS: ~/Library/Application\ Support/Claude/claude_desktop_config.json
- Windows: %APPDATA%\Claude\claude_desktop_config.json
- 위 파일을 열게 되면 저와 같은 경우는 단축키 설정만 작성되어 있었습니다.
- 공식 문서에 있는 내용을 mcpServers의 내용만 복사하여 붙여 넣었습니다.
claude_desktop_config.json 파일 수정하기
{
"globalShortcut": "Alt+Space",
"mcpServers": {
"filesystem": {
"command": "npx",
"args": [
"-y",
"@modelcontextprotocol/server-filesystem",
"/Users/levi/Desktop",
"/Users/levi/Downloads"
]
}
}
}
- 위 내용을 저장 후 재시작 합니다.
- 아래와 같이 filesystem이 추가되었다면 성공입니다.
사용해보기
- 파일을 하나 생성해달라는 명령을 내려보겠습니다.
- 권한을 확인하는 팝업이 뜨고, 약간 무서우니 한 번만 권한을 주었습니다. 두 차례 권한을 주니 프롬프트가 완료되었습니다.
- 이후 데스크탑 경로를 확인해보니 다음과 같은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마치며
아직은 실무에서는 바이브 코딩으로 개발하는 것이 오히려 더 큰 공수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Validtion, 정책과 같은 내용을 문서화하여 정리해두고, 해당 파일을 읽어서 개발된 코드가 정책에 적합한지 검증해주는 파이프라인을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금 더 테스트 해보며 게시물을 보충해보겠습니다.
'Dev > Debug & Tools &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페이(Apple Pay) 티머니 교통카드 설정법 (4) | 2025.07.24 |
---|---|
레이케스트(Raycast) - 단축키, 생산성 도구 (2) | 2025.07.17 |
제미나이 CLI(Gemini CLI) (7) | 2025.07.14 |
디아 브라우저(Dia Browser) (4) | 2025.07.10 |
클로드 코드(Claude Code) (2) | 2025.07.02 |